본문 바로가기
일상/시사

[시사] 양적완화란 무엇인가? 제로금리와 마이너스 금리 - 일본 경제

by N잡하는 이우 2022. 12. 5.

양적완화

양적 완화(quantitative easing, QE)란?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함으로써 생기는 경기부양 효과가 한계에 도달했을 때 장기 국채를 매입하는 등을 통해 유동성을 시중에 직접 푸는 정책을 뜻합니다.

이미 금리가 0% 인데 더 인하할 금리가 없는 상황에서, 경제회복이 목표만큼 되지 않으면 비전통적인 통화정책 수단인 양적완화정책을 실시하는 것입니다.


제로금리를 넘어 마이너스 금리인 일본

 

네이버 금융


미국이 22년 11월에 4.0% 금리를 가지고 있는 지금, 일본은 아직까지도 마이너스 금리를 실행하고 있죠.
여전히 엔화 공급량을 늘리고 있는 추세이지만, 엔화의 가치가 크게 하락하고 있는 셈이죠.

 

다른 대부분의 나라들은 한국까지도 금리를 많이 올리고 있는데 왜 일본은 이렇게 마이너스 금리를 하는 것일까요?

일본이 글로벌 추세와는 다르게 마이너스 금리를 실행하는 이유는 국채이자부담과 약해진 경제체질때문입니다.

현재 일본의 국채만 해도 1,065조엔 입니다. (1경 560조원)

정말 어마어마한 수치이죠. 만약 금리가 1%만 올라도 국채이자에 대한 부담이 3조 7천억엔이 증가한다는 보고서가 있습니다. 이런 어마어마한 수치때문에 다들 금리를 올려 인플레이션을 잡고 있는데도, 인상을 못하고 있습니다.
10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3.6%가 상승하였습니다. 무려 40년 8개월만에 최고치를 보였는데요? 이로인해 현재 일본의 국민들은 많은 고통을 받고 있죠.

YTN 뉴스

물가가 올랐다고, 임금이 오른 것이냐? 그건 또 아닙니다,,
보시다시피 임금은 오히려 20년 전보다 더 떨어진 수준을 보이고 있죠. 현재 일본과 한국의 GDP 격차도 역대 최고로 좁혀졌다고 합니다.


따라서 일본은 금리를 인상하지 못할만정, 현재 양적완화 정책을 계속 펼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국채 매입을 통해 국채 금리를 올리지 못할려고 하고 있으며, 엔화를 낮추어 가격경쟁력을 가질려고 하고 있죠.
하지만, 현재 미국이 금리를 올리고 돈을 가지려고 하다보니, 사람들이 엔화보다 달러를 더 찾게 되고 많은 인플레이션이 오게 된 것입니다.

앞으로의 일본 경제는 어떻게 이 문제를 풀어나갈지 궁금하네요!!

 

반응형

댓글